반응형
#코로나지수 #공포지수 #변동성지수 #VIX지수 #VIXETF
Pandemic 선언 이후, 주식시장을 보노라면,
기업의 가치를 무시하고 시장심리에 따라 가격이 무작정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.
예전과 비교하여 더욱 더 시장심리, 공포심리 등의 투자자들의 심리가 장을 움직이는 큰 요소임을 알 수 있다.
그런 심리를 지수로 하는 공포, 변동성지수, VIX에 대하여 알아보자.
VIX(Volatility Index)
시카고 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&P 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로, 증시 지수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. 예를 들어, VIX지수가 최고치에 이른다는 것은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극에 달했다는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팔 사람은 모두 팔아 치우게 돼 지수가 반등 여지를 마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. ‘공포지수’라고도 불린다.
volatile(volatility)
1. 변덕스러운 2. (금방이라도 급변할 듯이) 불안한 3. 휘발성의
주식시장의 최대의 적은 큰 변동성일 것이다.
경기가 활황이고 큰 악재가 없다면 열심히 일하는 기업의 주식의 가치는 올라간다는 것은
주식을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이고 기본적인 이론이다.
이런 기본적인 이론을 뒤 흔드는 것이 시장의 큰 변동성이며
변동성이 클 수 있는 공포심리를 지수로 표현한 것이 VIX 지수라 할 수 있겠다.
실제 VIX 추종하는 종목도 존재하고 있다.
VIX 지수를 추종하는 ETF 종목 (#VIXETF)
1. VIXM PROETF VIX MID-TERM FUTURES ETF
2. VIXY PROETF VIX SHORT-TERM FUTURES ETF
3. SVXY PROETF SHORT VIX SHORT TERM FUTURES ETF
4. TVIX VELOCITYETF DAILY 2X VIX SHORT TERM ETN 등
VIX 지수가 15 이하 인 경우 변동성이 거의 없을 안정적인 주식시장임을 시장이 판단하여
투자 유입이 많아지며 자연스레 상승장이 형성된다고 한다.
이러한 VIX 지수가 Pandemic 선언 이후에 80을 뚫고 올라갔으니 공포, Panic selling이 얼마나 이루어졌겠는가?
#코로나지수 #공포지수 #변동성지수 #VIX지수
반응형
'경린이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츠 (REITs)는 무엇인가? (1) | 2020.05.27 |
---|---|
뱅크런 (Bank run) 자기자본비율 (Captial adequacy ratio) (3) | 2020.05.24 |
컨센서스 consensus 는 무엇인가?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기준 (0) | 2020.05.05 |
하이일드 채권 High yield bonds 정크 본드 Junk Bonds (0) | 2020.04.17 |
리세션 (recession)이 무엇인가요? (1) | 2020.03.24 |
댓글